해상 풍력 발전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관련 주식들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최근 영국의 BP와 코리오 제너레이션이 국내 해상 풍력 개발에 1조 5,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하면서 해상 풍력 발전 관련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상 풍력 발전 관련주 10곳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해상 풍력 발전 관련주 소개
1. 유니슨 (018000)
유니슨은 해상 풍력 발전의 대장주로 평가받습니다. 풍력 발전 시스템과 타워를 생산하며, 2007년 국내 최초로 750kW급 기어리스형 풍력발전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현재 10MW급 해상 풍력 터빈 시제품을 개발 중이며, 육상 및 해상 풍력 발전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씨에스베어링 (297090)
씨에스베어링은 풍력용 베어링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블레이드와 로터를 연결하는 피치 베어링과 요 베어링을 주력 제품으로 하고 있습니다. GE와 14년 이상 거래를 이어오며, 최근 Vestas와 24억 규모의 블레이드 베어링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3. 동국S&C (100130)
동국S&C는 동국산업의 계열사로, 풍력 발전기 핵심 품목인 WIND-TOWER를 자체 기술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미국 해상 풍력 시장이 회복되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4. 씨에스윈드 (112610)
씨에스윈드는 풍력 발전기 기둥인 타워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회사로, 세계 1위의 타워업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덴마크 해상 풍력 하부구조물 기업인 블라트를 인수하여 해상 풍력 타워 하부구조물 사업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5.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두산에너빌리티는 아시아 최초로 3MW급 풍력 발전 시스템을 개발한 기업으로, 국내 최초의 30MW 규모 해상 풍력 단지를 건설한 경력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8MW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의 국제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6. DGP (060900)
DGP는 풍력 및 신재생 에너지 개발 사업을 전문으로 하며, 국내 최대 300MW급 해상 풍력 발전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력이 있습니다. 2023년 상호를 변경하여 DGP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7. SK오션플랜트 (100090)
SK오션플랜트는 해상용 풍력 발전기의 지지장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부구조물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해상 풍력 발전설비 하부구조물을 성공적으로 제작했습니다.
8. 태웅 (044490)
태웅은 해상풍력 산업에 필요한 단조 부품을 생산하는 유일한 업체로, 글로벌 시장에서 3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메인샤프트와 플랜지 등 중요한 부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9. 한전기술 (052690)
한전기술은 발전소 및 플랜트 관련 엔지니어링 회사로, 해상 풍력 발전소 EPC를 수주한 이력이 있습니다. 현재 100MW급 한림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10. 우리기술 (032820)
우리기술은 해상풍력 전문기업인 씨지오에 대한 지분 투자를 통해 해상풍력 시공 및 설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압해해상풍력 발전소의 100% 지분을 인수하였으며, 2026년 준공 예정입니다.
결론
해상 풍력 발전 관련주는 최근의 투자와 시장 성장 가능성에 힘입어 많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유니슨이 대장주로 분류되지만, 해상 풍력 발전 테마의 대장주는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해상 풍력 발전이란 무엇인가요?
해상 풍력 발전은 바다에서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해상 풍력 발전 관련주는 어떻게 선택하나요?
해상 풍력 발전 관련주를 선택할 때는 기업의 기술력, 시장 점유율, 프로젝트 이력 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상 풍력 발전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해상 풍력 발전은 육상 풍력 발전에 비해 바람의 세기가 강하고, 설치 공간이 넓어 효율적인 전기 생산이 가능합니다.
투자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해상 풍력 산업은 기술 발전과 정책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 전 충분한 정보 수집과 분석이 필요합니다.
해상 풍력 발전의 미래 전망은 어떤가요?
글로벌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해상 풍력 발전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전 글: 황야의 이리: 헤르만 헤세의 자아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