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희망리턴패키지 재기사업화(재창업) 지원사업은 폐업한 소상공인들에게 재기를 위한 소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방법, 기간, 지원 대상, 지원 내용 등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사업 개요
이번 사업은 새출발기금 채무조정 약정을 체결한 폐업 소상공인들이 안정적으로 재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지원 과정은 진단, 교육, 사업화 자금 지원, 공공정보 해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사항
- 주최/주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및 지역별 주관기관
- 신청기간: 2025년 5월 29일(목) 10:00 ~ 6월 19일(목) 17:00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 신청사이트: hope.sbiz.or.kr
지원 대상 자격 요건
신청자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필수 요건
- 새출발기금 채무조정 약정 체결자
- 공공정보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며 신용정보 조회서 필요
- 폐업 소상공인으로 폐업사실증명원 기준 영업일수 60일 이상
- 공고 마감일 기준 사업자등록이 없어야 함 (비영리법인 및 단체는 예외)
추가 조건
- 협약 기간 내 재창업이 가능한 자
- 정책자금 융자 제외 업종이 아닐 것
- 정부 보조사업 참여 제한, 체납이 없어야 함
전체 지원 절차 요약
아래는 지원 절차에 대한 단계별 요약입니다.
단계 | 내용 | 수행주체 |
---|---|---|
1단계 | 온라인 신청 및 자격검토 | 소상공인 → 주관기관 |
2단계 | 재창업 진단 (전문가 1:1 대면 진단 2회) | 전문가 |
3단계 | 사전 교육 (6시간 이상 필수) | 주관기관 |
4단계 | 서류 및 발표 평가 → 최종 대상자 선정 | 심사위원회 |
5단계 | 실전 교육 (20시간, 대면 7시간 포함) | 주관기관 |
6단계 | 재기사업화(멘토링 + 사업화 자금) | 소상공인 + 전담 PM |
7단계 | 공공정보 해제 신청 가능 (수료 후) | 본인 제출 |
주요 지원 내용 상세
1. 재창업 진단
- 전문가가 업종에 따라 심층 진단을 실시하며, 실패 원인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2. 사전 교육
-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 마인드 교육을 제공하며, 교육 미수료 시 이후 과정 참여가 불가능합니다.
3. 사업화 지원
- 실전 교육: 20시간 이상의 실습 중심 교육 제공
- 멘토링: 전담 PM의 밀착 멘토링 지원
- 사업화 자금 지원: 최대 1,000만 원의 국비 지원 (1:1 자부담 필요)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신청 방법
신청은 hope.sbiz.or.kr에서 진행되며, ‘신청접수완료’ 버튼을 클릭하여야 합니다. 모든 서류는 주민번호 뒷자리를 마스킹해야 하며, 파일 용량은 90MB 이내로 제한됩니다.
제출 서류 요약
- 사업계획서
- 자기역량기술서
- 신용정보조회서
- 폐업사실증명서
- 기타 필수 서류
자주 묻는 질문
Q1. 사업자등록을 최근에 다시 했습니다. 신청 가능한가요?
A. 불가능합니다. 본 사업은 사업자등록이 없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Q2. 아직 폐업신고를 하지 않았습니다. 신청할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폐업 사실증명서가 필요하며, 영업일수는 6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Q3. 신청 마감일에 접속이 어려울 것 같아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조기 신청을 권장합니다. 마감일 접속 폭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4. 서류 중 일부가 잘못 제출되었어요. 수정할 수 있나요?
A. ‘임시저장’ 상태에서는 수정 가능하지만, ‘신청접수완료’ 후에는 수정이 불가합니다.
Q5. 자부담은 얼마인가요?
A. 총사업비의 50% 이상 자부담해야 하며, 현금·현물 모두 가능합니다.
마무리
2025년도 희망리턴패키지 재기사업화(재창업) 지원사업은 폐업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재도약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신청 마감일이 임박하였으니, 자격 요건과 제출 서류를 확인하시고 빠르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