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를 읽어보시면 각 지역별 적용 가능한 매장 현황과 확인 방법, 사용 품목 한도, 주의사항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적용 범위와 매장 요건
- 면지역에 한해 해당 지역 내 위치한 소형 매장이 대상이며, 인접 지역의 유사 상권이 존재하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연 매출 30억원 이하의 소형 직영·위탁 점포여야 하며, 입구나 계산대에 민생회복지원금(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 도시권이나 대형 체인형 매장은 대부분 대상에서 제외되며, 면지역 소형 매장 위주로 인정됩니다.
지역별 적용 예시
- 경기: 용인시 모현농협 하나로마트 (면지역)
- 인천: 강화군 강화농협 선원지점 (면지역)
- 대구: 군위군 군위농협 산성지소 (면지역)
- 충남: 청양군 정산농협 청남지점 (면지역)
- 대전: 서구 월평 하나로마트 (소규모 점포)
- 경북: 영양군 영양농협 일월지점 (산간 소형점포)
- 강원: 홍천군 내촌농협 물걸지점 (면지역)
- 전북: 순창군 순창농협 인계점 (면지역)
지역 | 지점명 | 비고 |
---|---|---|
경기 | 용인시 모현농협 하나로마트 | 면지역 |
인천 | 강화농협 선원지점 | 면지역 |
대구 | 군위농협 산성지소 | 면지역 |
충남 | 정산농협 청남지점 | 면지역 |
대전 | 월평 하나로마트 | 소규모 점포 |
경북 | 영양농협 일월지점 | 산간 소형점포 |
강원 | 내촌농협 물걸지점 | 면지역 |
전북 | 순창농협 인계점 | 면지역 |
확인 방법 및 절차
- 거주지 관할 시·군·구청 홈페이지의 “민생회복지원금(소비쿠폰) 가맹점 조회”에서 거주지와 매장명을 입력해 현황을 즉시 확인합니다.
- 지역 농협 홈페이지에서도 동일 정보를 제공하므로 비교 확인이 가능합니다.
- 매장 입구에 부착된 스티커가 있는지 실제 매장에 방문해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는 추가 확인 절차도 필요합니다. 실제 사용 여부는 해당 절차를 거친 뒤 확정됩니다.
사용 품목 및 한도
- 기본적으로 쌀, 김치, 라면, 채소, 과일, 축산물 등 생필품 전반이 포함되며 지역 농산물·특산품도 일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세제, 생활용품, 유제품, 음료, 빵류 등 생활 필수 품목도 포괄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매장별로 결제 방식이나 특정 품목에 대한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면지역 소형점포의 경우 현장 결제 수단에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및 불가 사례
- 도시권 대형 매장, 인근에 슈퍼나 편의점이 존재하는 매장은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온라인 주문은 대부분 사용이 불가하고, 오프라인 매장 내 스티커 부착 여부가 불합격 요건일 수 있습니다.
- 거주지와 다른 지역 매장에서의 사용은 제한될 수 있으며, 반드시 거주지의 가맹점 조회 결과를 따라야 불이익이 없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내 집 앞 하나로마트에서도 사용 가능한가요?
A: 대부분 불가합니다. 면지역의 소형 매장과 인근 유사 상권이 없는 경우에 한해 인정됩니다. - Q2: 사용 기간은 언제까지인가요?
A: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 가능하되, 지역별 공지가 달라질 수 있어 최종 확인이 필요합니다. - Q3: 주소지 외 타지역 매장 이용 가능한가요?
A: 주민등록 주소지의 가맹점 조회 결과에 따라 제한되며, 일반적으로 거주지 내 매장에서만 사용 권한이 있습니다. - Q4: 사용 가능한 품목은 무엇인가요?
A: 쌀·채소·과일 등 생필품과 지역 특산품, 세제류 등 다수 품목이 포함되지만 매장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