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를 구매할 때는 차량 가격 외에도 취득세와 등록세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두 세금은 차량의 가격과 연식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과 면제 혜택, 할부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세와 등록세란?
취득세
취득세는 자동차를 구매할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차량의 가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세금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부과되며, 주로 지역 복지와 도로 정비 등에 사용됩니다.
등록세
등록세는 재산권이나 기타 권리의 취득 이전이나 변경이 발생할 때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이 역시 지자체에서 부과되며, 차량 등록 시 반드시 납부해야 합니다.
중고차 취득세 계산 방법
취득세는 차량의 가액에 표준 세율을 곱해 계산합니다. 표준 세율은 차량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르며,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습니다.
구분 | 표준세율 |
---|---|
승용자동차(비영업용) | 7% (경차 4%) |
그 밖의 자동차(비영업용) | 5% (경차 4%) |
그 밖의 자동차(영업용) | 4% |
기타 차량 | 2% |
중고차의 가액은 두 가지 방법으로 산정됩니다:
1. 공급가에 표준 잔가율을 곱한 금액: 예를 들어, 2020년에 제작된 승용차의 공급가가 3,000만 원이라면, 표준 잔가율(61.4%)을 적용하여 1,842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2. 중고거래가: 실제 구매한 가격으로, 매매계약서에 명시된 금액입니다.
따라서, 중고차의 취득세는 이 두 가지 중 높은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차량가액이 1,842만 원이라면, 취득세는 약 129만 원이 됩니다.
취득세 계산기 활용하기
취득세 계산이 복잡할 경우, 정부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365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차량 가격과 거주 지역을 입력하면 등록비용과 공채 매입비를 포함한 총합계 금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취등록세 할부 신청 방법
취득세는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분할납부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취득세 본세가 30만 원 이상일 경우에만 할부가 가능합니다. 분할납부는 최대 10회까지 가능하며, 초기 신청금액은 10만 원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중고차 취등록세 면제 대상
중고차 구매 시 일부 조건에 따라 취등록세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 다자녀 면제: 18세 미만 자녀가 3명 이상인 가구는 면제를 받을 수 있으며, 차량 1대에 한해 적용됩니다.
- 경차 면제: 배기량이 1000CC 미만인 경차는 2024년 12월 31일까지 75만 원 이하인 경우 전액 면제가 가능합니다.
- 전기자동차 감면: 전기 및 수소 자동차는 취등록세가 140만 원까지 감면됩니다.
- 하이브리드 자동차 감면: 2024년 12월 31일까지 40만 원 이하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취득세 면제가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중고차 취득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답변: 중고차 취득세는 차량가액에 표준 세율을 곱해 계산합니다. 차량가액은 공급가에 표준 잔가율을 곱한 금액과 중고거래가 중 높은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질문2: 취득세 할부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답변: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취득세 분할납부 신청이 가능합니다. 본세가 30만 원 이상일 경우 할부 신청이 가능하며, 최대 10회까지 나눠 납부할 수 있습니다.
질문3: 중고차 면제 혜택은 어떤 것이 있나요?
답변: 다자녀 가구, 경차, 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매 시 일부 면제 혜택이 있습니다.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면제 대상은 차량 1대에 한정됩니다.
질문4: 취득세 계산을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답변: 정부에서 운영하는 자동차 365 사이트를 이용하면 차량 가격과 거주 지역을 입력해 취득세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질문5: 중고차를 매매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매매계약서를 반드시 작성하고, 차량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취득세 및 등록세를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