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서버의 부팅에 문제가 생겼을 때, 특히 CPU를 교체한 후 부팅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백업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과정은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문제 진단
CPU 교체 후 부팅 오류
CPU를 교체한 후 우분투 서버가 부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CPU가 기존 시스템과 호환되지 않거나 부트로더 설정 문제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BIOS 설정입니다.
BIOS 설정 확인
부팅 시 Del 키를 눌러 BIOS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USB 부팅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부팅 순서를 조정합니다. 특히, UEFI 모드와 레거시 모드의 설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백업 준비
USB 부팅 드라이브 만들기
부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SB 드라이브를 만들어 우분투를 부팅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우분투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Rufus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듭니다.
USB 드라이브 연결
USB 드라이브를 컴퓨터 후면의 USB 포트에 연결합니다. 최신 메인보드에서는 USB 드라이브가 자동으로 인식되어 부팅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인식되지 않는다면 BIOS에서 수동으로 부팅 드라이브를 선택해야 합니다.
우분투 부팅 및 LVM 데이터 접근
우분투 부팅
USB 드라이브로 우분투를 부팅한 후, 화면 상단에 나타나는 주황색 바가 보이면, 방향키를 이용해 ‘Help’로 이동하여 쉘에 접속합니다.
LVM 데이터 확인
LVM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sudo lsblk
sudo vgscan
sudo lvscan
LVM 마운트
LVM을 찾았다면 이를 마운트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bash
sudo mount /dev/경로이름/경로이름 /mnt
sudo chroot /mnt
이제 /mnt
디렉토리에서 LVM 볼륨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USB로 데이터 복사
USB 포맷 확인
USB 드라이브는 FAT32 형식으로 포맷되어 있어야 합니다. USB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sudo fdisk -l
USB 디렉토리 생성 및 마운트
USB를 연결하여 미디어 폴더에 디렉토리를 생성한 후 마운트합니다.
bash
mkdir /media/usb32
sudo mount /dev/sdb1 /media/usb32
데이터 복사
이제 필요한 데이터를 USB로 복사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bash
cp -r /mnt/파일경로 /media/usb32
파일 경로는 복사할 파일의 위치를 입력하고, 오른쪽은 USB의 경로입니다.
마무리 및 다음 단계
이 과정을 통해 우분투 서버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백업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어떤 리눅스 배포판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USB 부팅이 안되면 어떻게 하나요?
USB 드라이브가 BIOS에서 인식되지 않는다면,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확인하고 USB 부팅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점검하세요.
질문2: LVM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 복사는 어떻게 하나요?
LVM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복사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USB로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질문3: 데이터 복사 후 시스템 복구 방법은?
시스템 복구는 USB를 통해 우분투를 새로 설치하거나, 기존 시스템에 필요한 파일을 복사한 후 재부팅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질문4: 우분투 LTS 버전이란 무엇인가요?
LTS는 Long Term Support의 약자로, 장기 지원이 제공되는 버전으로 안정성과 보안 업데이트를 장기간 제공합니다.
질문5: 서버 사양을 어떻게 확인하나요?
서버의 사양은 lscpu
, free -h
, df -h
등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HUG 전세보증보험 가입 조건 및 비용 안내